fbpx
태양광 발전 사업

한국에서 현실적인 개인 태양광 발전 사업

세상에서 안정적이고 수익성이 높은 사업이 어떤게 있을까요? 그중에 하나가 ‘태양광 발전 사업’ 입니다. 2021년 세계경제 포럼에서 지난 10년동안 태양광 에너지 발전비용을 조사해본결과 유지보수 기술이 발전하면서 비용절감이 약20~30% 낮아진 결과가 나왔습니다 . 이에 신재생 에너지 중 풍력발전보다 사업성이 좋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태양광 시장은 향후 30년동안 무궁무진하게 커질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정부도 태양광 발전 사업을 장려하고 있으며, 태양광 발전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최근 ‘한국에너지공단’에서 2021년 한국형FIT 소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자들을 위한 제도와 금융지원혜택을 만들었습니다. 정부에서 주는 재생에너지 인증서 가격이 떨어지면서 보다 합리적이고 개인사업자들의 리스크를 줄이고자 제도 수정안이 발표된 것으로 보입니다.

1.한국에서 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사업

우선, 태양광 사업의 장점은 산업의 변화에 적응할 필요가 없습니다. 산업은 10~20년 주기로 트렌드가 바뀌기 때문에 영원한 비즈니스를 할수 없지만, 태양광 발전 사업은 관리와 수리비만 부담하면 50년 이상 할 수 있는 사업입니다.

허나, 유망한 사업이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참여해도 되는 사업인지는 따져봐야겠죠? 이번에 개편된 정부지원을 고려했을때, 현실적인 고정수익이 얼마정도 될까요?

태양광 발전 사업

2. 한국형FIT 제도

농축산어민 소규모 발전사업자들의 안정적인 수익과 편의성을 위해 만들어진 정부제도입니다. 20년간 고정가격계약을 맺고 안정적인 수익이 보장될 뿐 아니라 REC 발급 및 입찰 절차를 생략해서 보다 간소화한 절차로 수익창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때문에 2019년부터 태양광 발전 사업 성장이 농민,어민,축산인들을 중심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있는 링크를 통해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사업공고’  내용을 확인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바로가기 클릭>
2021년 한국형 농촌 소형 태양광 참여 공고문

< 한국 에너지 공단_한국형 FIT 태양광 발전사업 안내영상>

3. 태양광 에너지 발전의 수익률

한국형 FIT 제도를 이용한 농축산어민 발전사업들의 수익은 얼마나 될까요?

<2021년 한국형 FIT 단기 기준>
– 건물 가중치 1.5
– 발전용량 99KW
– 발전시간 하루평균 3.6시간

연수익: 2,452만원(축사) / 2,180만원(농지)
수익률: 15%이상(축사) / 12%이상(농지)
투자금 회수: 5년미만
고정가격: 161,927원
안정성: 20년 고정금액


아무래도 ‘농지형 태양광’보다는 ‘축사형 태양광’이 더 좋은점 참고하시면 좋을것같습니다.

<더 알아보기 클릭>
2021년 신재생 에너지 기업 Best 10

>